이번에 포스팅할 정보는 바로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등록이다
그래서? 이걸 등록해서 어디에 쓰는데? 왜?
쉽게 말해 외부 환경(WAN)에서 우리집 공유기를 통해 우리집 네트워크로 접근할 수 있단 말이다
DDNS는 유동적인 IP를 개인DNS와 묶어서 ISP제공의 IP가 변경되더라도 DDNS주소만 있다면 우리집 공유기를 찾아올 수 있단 말이다... 공유기를 밖에서 접속해서 뭐하는데...?
원격제어! NAS접속! 마크!ㅋㅋ
사실 관심 없는 사람이라면 아무 쓸모 없는 기능이긴 하지만.. 알고있음 좋자나?
(아 그냥 공인 IP로 외부에서 붙으면 대는대? 그거 바뀜!)
무료 DDNS는 모든 공유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건 아니니 참고합시다! 아수스 공유기 기준으로 설명!
우선 공유기에 접속 하자!(본인은 멀린 펌웨어를 사용 중이지만 메뉴는 같음)
공유기 화면에서 [WAN] - [DDNS] 이동한다
http://iplookup.asus.com/nslookup.php
위 링크에서 이름을 정한다 IP주소가 나오면 이미 누군가 이름을 쓰고 있다는 뜻!
호스트 이름이란 [호스트 이름]. asuscomm.com의 주소가 되는 것이다
이름을 정하였으면 적용을 누르고 조금 기다려보자... 상태가 활성화되고 발행자에 Let's Encrypt 나타나며 만료일까지 보이면 모든 등록 과정이 끝난다 (SSL 인증서는 약 3개월마다 자동으로 갱신한다)
이제... 끝났는데 이걸 어떻게 쓰냐?
바로 [포트 포워딩] 기능으로 빛을 발하게 된다
포트 포워딩은 외부에 노출시킨 포트를 내부의 특정 포트로 전달해주는 기능이다
외부에 노출되는 만큼 위험이 생길 수 있으니 내/외부 포트는 다르게 설정하도록 하며 내부 환경의 보안을 철저하게 지키도록 하자!
내가 사용하는 NAS의 포트를 노출, 또는 테스트 환경을 외부에 노출시켜 인터넷만 되면 어디서든 내가 만든 환경에 접근하고 컨트롤이 가능하다
[호스트명.asuscomm.com:포트번호] 이런 형태로 내가 정한 DDNS 주소에 포트를 적어 외부에서 NAS를 접속할 수 있다!
NAS가 있다면 WebDAV를 쓰면 휴대용 외장하드는 이제 필요 없다
이게 나중에 애들 마크 개인 서버를 만들어서 친구들과 함께 접속할 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 줄 수 있다!
[DDNS+포트포워딩] 이 두 가지 기능이 있다면 어디서든 내가 만든 환경에 접속할 수 있다
*활용 서비스
시놀로지 NAS 환경 [DS Audio, DS Video, Synology Photo(Backup), WebDAV]
Home Lab 환경 [라즈베리파이, VMware Workstation]
'IT Info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수스 공유기(Asus Router) 관리계정 패스워드 변경[정책무시] (0) | 2022.03.01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