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Tunning [sysctl.conf Adding]
#BandWidth(대역폭) 향상을 위하여 Receiver Window Size 값 증가
net.ipv4.tcp_window_scaling=1
#TCP Socket 당 Buffer Size(BandWidth Receive, Send Queue) 확장
net.core.rmem_default=253952
net.core.wmem_default=253952
net.core.rmem_max=16777216
net.core.wmem_max=16777216
net.ipv4.tcp_rmem=253952 253952 16777216
net.ipv4.tcp_wmem=253952 253952 16777216
*Backlog Configure [sysctl.conf Adding]
#어플리케이션에서 알지 못하는 네트워크 패킷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In-Bound Queue 크기
net.core.netdev_max_backlog=30000
#listen() 으로 바인딩된 서버 소켓에서 accept()를 기다리는 소켓 개수에 관련된 커널 파라미터
net.core.somaxconn=1024
#SYN_RECEIVED 상태의 소켓(즉, Connection Incompleted)을 위한 Queue
net.ipv4.tcp_max_syn_backlog=1024
#TIME WAIT 상태의 소켓은 일반적으로 서버 소켓의 경우 신경 쓸 필요 없지만, 다른 서버로 다시 질의하는 경우
net.ipv4.tcp_max_tw_buckets=1800000
net.ipv4.tcp_timestamps=1
net.ipv4.tcp_tw_reuse=1
*Hang, Panic Tunning Configure [sysctl.conf Adding]
#설정값 1로 설정시 Crash 발생
vm.panic_on_oom=1
#Hung 감지 시 경고 메시지 대신 Panic을 즉시 발생 시키며 재부팅 수행
kernel.hung_task_panic=1
#커널 내의 Softlockup 검출기가 데드락 상황 혹은 락 유지가 오래되는 것을 감지 시 Panic 발생
kernel.softlockup_panic=1
#처리할 수 없는 NMI 발생 시 Crash 발생
kernel.panic_on_unrecoverd_nmi=1
#하드웨어에서 커널이 인지 못하는 NMI 시그널을 보냈을 경우 Crash 발생
kernel.unknown_nmi_panic=1
#KernelPanic(oops) 발생 시 1초 후 Reboot
kernel.panic_on_oops=1
*Swap 사용 빈도 수
#리눅스에서 swap의 역할은 물리적인 메모리의 한계로 인한 리소스 부족 현상을 막기 위해 임시 메모리로 사용되는 공간
vm.swappiness=10
*가상메모리
#디렉토리와 inode 오브젝트에 대한 캐시로 사용된 메모리를 반환(reclaim)하는 경향의 정도를 지정
vm.vfs_cache_pressure=100000
#시스템의 메모리가 임계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 ksqpd 데몬을 통해서 메모리 반환이 일어나는데 이 임계치 값을 지정
vm.min_free_kbytes=524288
*Port Range
#시스템에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클라이언트 소켓 수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net.ipv4.ip_local_port_range=1024 65535
*주의 단순 전체 적용이 아닌 상황에 맞게 적용 해야 함
'IT Info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별도 패키지 없이 네트워크 포트 통신 확인 방법 (0) | 2022.11.06 |
---|---|
CentOS 9 개요 및 설치 방법 (0) | 2022.03.25 |
Openssl 버전 업그레이드 방법 (0) | 2022.03.24 |
라즈베리파이 Linux 설치 방법 [CentOS] (0) | 2021.12.04 |
Linux 아파치(httpd) Tomcat mod_jk 연동 방법 [RHEL, CentOS] (0) | 2021.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