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9 Linux 아파치(httpd) yum 설치 및 SSL 적용 방법 [RHEL, CentOS] 간혹 대뜸 아차피 Web 서버에 SSL 인증서를 적용해달라는 요청을 받을 때가 있다 이때 참고하려고 간단하게 작성해본다 순서 1. 서버 개인키 생성 2. CSR(Certificate Signing Request) 인증서 생성 (요청서 일종의 인증서 생성 양식) 3. 서버 개인키와 CSR을 통해 CRT 인증서를 생성 4. 아파치 웹서버(httpd)에 적용 *실제 On-Site에서는 인증서를 생성하지 않은 실제 공인 인증서를 적용하니 3번 항목은 필요 없다 서버 개인키 생성 openssl genrsa -des3 -out private.key 2048 / 개인키 암호 입력 *이후 암호를 제거하여 키 사용 시에 암호를 묻지 않도록 한다 (용량이 조금 줄어든다) CSR 생성 openssl req -new -key.. 2020. 10. 19. Linux Firwalld 포트 추가 방법 [RHEL, CentOS] RHEL, CentOS 모두 7버전부터 iptables 빠지고 firwalld 대체된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OS설치 후 방화벽부터 내리는데 그러지 말고 간단하게 필요한 것만 추가하는 걸 알아보자 뭐 기능이 이것저것 있지만 내가 필요한건 포트 추가이므로 자세한 건 다른데 찾아보면 된다 Firewalld 데몬은 기본적으로 zone 파일을 참고하며 기본 설정은 public.xml (zone파일)이다 그래서 public.xml에 포트를 추가할거다, XML 수정 후 firewall-cmd --reload 필수다 Firewalld 상태 확인(난 아직 service 명령어가 편하다.. 언제쯤 systemctl 익숙해질런지) firewall-cmd --list-all 현재 적용 중인 방화벽 정책 정보 확인 vi /e.. 2020. 10. 19. Linux Local Repository 구성 방법 [RHEL, CentOS] 내부망(폐쇠망)에서 YUM OS 내부에 구성 하여 간단하게 YUM 을 사용 하는 방법 이다 우선 원하는 경로에 ISO 이미지를 복사한다 (ISO 이미지 자체를 마운트 해도되지만 난 별루... 복사하는게 좋아) -rp 옵션으로 하위 디렉터리를 함께 복사하자, -r 옵션은 오너쉽과 타임 스템프를 고대로 가져가는데 걍 쓰자 난 습관.. /etc/yum.repos.d 경로로 이동한 뒤 기존에 있던 .repo 파일들을 옮겨주자 vi편집으로 local.repo 만들어준다 내용은 아래와 같이.. [repo name] baseurl=file:///이미지경로 enabled=1 (1=사용,0=사용안함) gpgcheck=0 (1=체크,0=체크안함) 패키지 GPG(GNU privacy guard)서명 확인 여부, 중앙DB에서.. 2020. 10. 19. 노트북 배터리 상태 매월 상태 받아보는 스케줄러 만들어 보기 괜히 노트북 사고 나니 배터리 상태에 자꾸 신경이 쓰여 주기 적으로 확인하게 되더라 사실 리포트 열어보는 게 별것 없어서 cmd 열고 명령어 한 줄이면 될 것을 참 이것마저도 귀찮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윈도우 스케줄러를 사용해서 매월 1일 바탕화면에 배터리 리포트를 작성하려 한다 검색 창에 [작업 스케줄러] 또는 실행 창에 [taskschd.msc] 입력하여 창을 띄운다 일반 탭에서는 스케줄 이름만 정하고 트리거 동작을 정한다 매월 1일, 15일에 스케줄러가 동작 하도록 설정했다(해당 일에 노트북 안 켜면 동작 안 하겠지? 그래서 1일 15일 두 번) 실제 동작을 지정해준다 내용은 CMD에서 powercfg /batteryreport 명령어 수행인데 아래에 다시 적겠다 트리거와 동작 두 개만 지정했.. 2020. 10. 19. Linux 무중단 vDisk 용량 증설 [RHEL, CentOS] 간혹 VM 용량 부족으로 디스크 용량 늘려달라는 요청이 있어 일기처럼 간단히 작성 해 놓으려 한다 모든 작업은 재부팅 없이 진행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 한다 테스트 환경 - VMware Workstation - Linux VM - CentOS 7.8 Minimal 설치 작업 순서 1. 새로운 가상 디스크 추가 (기존 가상 디스크 용량 추가는 무조건 재부팅이 필요 하다) 2. 새로운 가상 디스크 추가 인식 명령어 수행 3. 파티션 생성 4. PV 생성, VG 추가, LV 증설 5. XFS 용량 증가 기존 디스크 용량 수정과 새로운 디스크 추가는 다르므로 재부팅 없이 작업하려면 필히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하여 기존 VG에 추가하는 방향으로 작업을 해야 한다 (중요 서비스 또는 24시간 서비스 작업 때 유용.. 2020. 10. 16. TRN BT20S Pro (MMCX TWS Adapter) 구매 후기 요즘 여러 디바이스들이 3.5mm 케이블 포트를 없애고 있다 이전에 사용하던 또 지금 사용하는 제품에 3.5mm 포트가 없는 경우가 빈번하며 케이블 보관이 짜증 나서 TWS 관심 있게 보고 있었다 당연히 Apple의 Air Pods 일인자이며 제일 좋다고 알고 있고 삼성의 버즈도 나쁘지 않다 나도 사고 싶었다 하지만... 아내가 사준 Westone W80 (당시 약..150...만원..) 안 쓰고 또 이어폰 사려니 돈도 아깝고 소리가 좋아서 포기하기 힘들었다 MMCX 단자 타입의 블루투스 케이블을 정말 여러가지로 사용해보았다 넥밴드형, 그냥 줄로 이어진 타입 등... 사실 제일 불편한 건 충전이다 케이블도 Micro USB 불편하기 그지없다 그러던 중 몇 년 전 TRN 사의 BT20 제품이 출시되며 MM.. 2020. 10. 15. 이전 1 ··· 3 4 5 6 7 다음 728x90